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0. 스포일러도 많고, 이 글은 철저히 제 주관적인 면이 강합니다. 유의해주세요. 

 

1. 벌컨인과 지구인의 혼혈이라는 설정으로 나온 스팍은 미국 대중 문화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성공한 캐릭터입니다. 실제로 스팍역인 레너드 니모이(Leonard Nimoy)조차도 자신의 두 권의 자서전을 '나는 스팍이 아니다'와 '나는 스팍이다'로 지었을 정도니까요. 말장난이 아닙니다. 그만큼, 스팍은 한낮 배우의 인생 뿐만 아니라, 미국 대중 문화계의 역사를 바꿨을 정도로 유명하고 위대한 캐릭터니까요.

 

2. 그래서인지, 레너드 니모이 이후 현재 스팍 역할을 맡고 있는 재커리 퀸토(Zachary Quinto)는 뛰어난 연기와, 젊은 시절의 레너드 니모이를 연상시키는 똑 닮은 외모를 가지고 있음에도, 꾸준히 올드 트레키들에게 까이고 있죠. 물론 이거는, 원래 배우의 아우라가 워낙 강해서 이기도 하지만, 리부트 시리즈의 각본진과 제작진이 캐릭터 자체를 다소 이전과 다르게 비틀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3. 구 TOS 시리즈에서의 스팍은 인간적인 컴퓨터 같다고 할까? 평소에는 논리적인 모습을 주로 보이지만, 간혹가다가 인간들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을 보이죠. 대표적인게, 바로 그 폰파 설정, 그리고 스타트렉2: 칸의 분노에서 보여준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죠. 무엇보다, TOS 시리즈의 스팍은 쉽게 감정에 지배당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화가나도, 급한 일이 있어도, 논리적인 부분과 감정적인 부분을 잘 조율해서 결정하는 모습을 보이죠. 대표적인 부분이 스타트렉6: 미지의 세계에서의 모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4. 리부트 판에서의 스팍은 좀 다릅니다. 사실, 스팍이라는 캐릭터의 성격 자체는 달라진게 없습니다. 다만, 시리즈에 대한 접근 방법이 달라지고, 작중 계속해서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감정선을 최대한으로 건들여대는 전개를 계속하다보니 그렇게 보이는거지... 아무래도 시대가 달라지고, 딥 스페이스 나인(DS9) 시리즈 부터 본격적으로 보여진 사회문제의 반영이나, 캐릭터 하나 하나가 가지고 있는 어두운 부분을 강조하는 연출덕에, 벌컨과 인간의 혼혈이라는 사실[각주:1] 때문에 생긴 정체성의 문제가 리부트작 첫번째 영화인 스타트렉: 더 비기닝 (Star Trek)에서의 스팍의 주요 캐릭터로 떠올랐죠. 게다가 기존 시간선에 없던 네로의 난입으로 본성이 날라가 버립니다. 본성과 함께 그의 감정적 버팀목 중 하나였던 어머니도 죽어버리죠. 하지만, 아버지와의 대화와 원래 시간선에서 온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한층 성장하죠. 물론, 다크니스에서는 커크가 죽어버리는 통에....

 

5. 스팍에 이어서 다른 캐릭터들도 저마다의 특징이 있죠. 미국계도 아닌 아프리카 계 흑인 여성으로, 섹시한 미니스커트를 입고 나온 통역 담당인 니요타 우후라(니셸 니콜스가 연기했습니다.)의 경우에는 커크와의 키스신을 찍은 걸로 유명합니다. 캐릭터 자체도 단순한 색기 담당도 아닌, 우주를 여행하면서 만나는 수많은 외계인들과의 대화를 책임진다는 면에서 아주 중요한 캐릭터였죠. (아 그렇다고 색기담당이 아닌건 아니고...)생각해보세요, 마틴 루터 킹이 그 유명한 I have a dream 연설을 한지 고작 3년 후인, 그 인종 차별이 엄청났던 시절의 미국에서 나온 캐릭터입니다.

 

거기다가, 이 캐릭터는 미국인도 아니예요. 아프리카 계입니다. 그런데, 백인인 커크 선장이랑 키스 씬 까지 연출해? 지금 보면 아무렇지 않을 일이지만, 그 시절의 기준으로 보세요. 이건 엄청난 일입니다. 천지가 개벽할 만한 일이였다는거죠. 그에 비해서 조이 살다나가 맡은 리부트판의 우후라는 스팍의 연인, 즉 히로인으로서의 역할로 다소 축소된 느낌입니다...

 

6. 조지 타케이가 역할을 맡은 히카루 술루는 어느정도는 스테레오 타입적입니다. 나쁜 의미는 아닙니다. 왜냐면, 현대 미국영화에 나오는 스테레오타입적인 '엘리트, 초인스러운' 동양인 캐릭터의 시초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파격적인 캐릭터였으니까요. 인종차별적으로 그려지지도 않았고, 오히려 그런 점 때문에 캐릭터가 산 느낌이기도하고요. 이 캐릭터는 조타수입니다. 이게 뭐가 대단한거냐고요? 작중 USS 엔터프라이즈호는 5년간의 탐사라는 중대한 임무를 띈 함선인데, 이 함선의 조타수입니다. 네, 무지막지한 엘리트예요. 거기다가, 무뚝뚝하거나 그런것도 아니고, 감정적이며, 위트도 뛰어난데다가 자기 의견 표현도 거침이 없죠.

 

개인적으로는 리부트 전이나 후나 좋은 캐릭터라고 봅니다. 잘만들어졌어요. 리부트 후에는 뭔가 상황에 맞는 말을 짧고 능청스럽게 툭툭 뱉는 캐릭터도 생겼는데, 좋다고 봐요 전. 그리고, 히카루 술루라는 일본 스러운 이름에도 불구하고, 캐릭터 자체의 국적을 설정하지는 않아서, 덕분에 한국계 배우인 존 조가 리부트 판에서 역을 맡을 수 있었습니다. 조지 타케이 본인도 긍정적으로 반응했을뿐만 아니라 격려해줬다더군요.

 

참고로 조지 타케이씨에 대해 말하면, 이분은 커밍아웃한 동양계 배우이기도 합니다. 덕분인지, 철저한 보수주의자이며, 마초주의자였던 커크 선장 역의 윌리엄 샤트너와는 관계가 안 좋았다고 합니다. (현재는 화해는 했다는 군요.) 제가 알기로는 (루머로 받아들이세요.) 실제로 클로짓 게이였던 60년대 TOS 촬영당시에도, 이해해주고, 신경쓰지 않았던 다른 배우들과 다르게 윌리엄 샤트너만 유일하게 조지 타케이의 이러한 사실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각주:2] 그리고 환갑이 넘은 현재에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로, 그 나이대 배우들 답지않게 활발하게 팬들과 소통을 하면서 즐거운 인생을 살고 계십니다.

 

7. 이렇게 캐릭터만 주구장창 소개하는 이유는 -3-에서 남은 캐릭터 소개와 함께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스타트렉 시리즈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TOS 시리즈 설명을 먼저 해야하는지라...

 

계속

 

 

 

  1. 근데, 개인적으로 스팍이 어린시절에 혼혈이라는 이유로 따돌림 당하는 부분의 연출은 굉장히 어이가 없더군요. 논리를 중시하는 벌컨인들이 논리에 맞지 않는 짓인 인종 차별을 대놓고 한다고? 물론 TOS시리즈를 시간선 변경을 빙자해서 DS9과 TNG 후반의 느낌처럼 어둡고 정치적으로 재해석한 리부트 시리즈라고 해도 이건 좀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연출 미스라고 느껴졌습니다. [본문으로]
  2. 다만, 윌리엄 샤트너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TOS 크루 배우들이 있냐하면.... 없군요. 공식적으로 그와 사이가 확실히 안좋았던 배우는 제임스 두한과 조지 타케이라고 합니다. (윌리엄 샤트너의 Star Trek Movie Memories에서 발췌.) [본문으로]

'Star Trek > about Star Tre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렉 시리즈에 대하여 -1-  (0) 2016.02.1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0. 스포일러도 많고, 이 글은 철저히 제 주관적인 면이 강합니다. 유의해주세요. 


1. 장대하게 써내려 갈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1-을 붙이긴 했지만, 2화 만에 끝날 수도 있고, 10화를 넘길 수도 있는 글이 될 거예요.


2. 스타트렉 시리즈는 진 로덴베리 (Gene Roddenberry)에 의해서 만들어진 시리즈입니다. 1964년에 The cage 라는 제목의 파일럿으로 첫 제작되었지요. (정작 공개는 1985년에 공개되었습니다.) 아직 보지는 못했습니다. 


3. 이 파일럿의 주인공은 스팍과 크리스토퍼 파이크 함장입니다. 전자의 경우 특유의 캐릭터성이 아주 잘먹힌 탓에 현재까지도 스타트렉 시리즈의 상징과도 같은 캐릭터가 되었으며, 후자는....네, 꾸준히 나오시긴 합니다. 


4. 이 크리스토퍼 파이크 함장은(배우는, The cage에서는 제프리 헌터, The Menageries에서는 숀 키니, 이후 리부트 시리즈에서는 브루스 그린우드입니다.) 이후 1966년 부터 정식 방영된 TOS 시리즈에서 엔터프라이즈 호의 전임 함장이였다는 설정으로 등장하여, 흑역사는 면했지만, 등장한 The Menageries 에피소드에서는 부상으로 인해서 말도 제대로 못하는 장애인이 되어 등장했죠. 그리고 이후에 리부트(사실 리부트 시리즈는 아닙니다.) 시리즈인 스타트렉: 더 비기닝(The Star Trek)에서도 네로에게 잡혀서 있는대로 고문당하더만, (스타트렉2: 칸의 분노에서 나온 자백&조종용 벌레는 덤입니다.) 급기야 후속작인 스타트렉 다크니스 (Star trek into darkness)에서는 칸의 총격을 맞고 죽어버립니다. 더 안습한건, 죽은 사람도 살릴 수 있는 칸의 피가 있는데, 영화 초반에 죽어버리기도 했고, 정작 커크가 죽어버린 마당에 잊혀져서 그냥 사망처리되어버립니다.


5. 여튼 크리스토퍼 파이크의 캐릭터가 좋지 않기도 했지만, (전형적인 꽉막힌 함장 역할이였다고 합니다. 리부트에서는 안 그랬지만) 배우 본인도 원치 않아서 하차해버린 터라, 결국 1965년에 제작된 'Where no man has gone before'에서 부터는 새로운 함장인 제임스 타이베리우스 커크 (James Tiberius Kirk) 가 등장합니다. 배우는 구 시리즈는 윌리엄 샤트너(요즘 세대 사람들에게는 보스턴 리걸 시리즈의 그 괴짜 변호사로 더 유명합니다.), 현재 제작되고 있는 리부트 시리즈에서는 크리스 파인이 연기하고 있습니다. 스팍이요? 스팍은 그냥 계속 유지됩니다.

 

6. 제임스 커크의 성격은 리부트 판과 구판이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 이렇게 된 까닭은 원래 세계관에서 일어난 사건인 로뮬란 본성이 블랙홀에 먹히고, 그 와중에 로뮬란 잔존세력인 네로 일당과 스팍 대사(위에서 말한 그 스팍 맞습니다. 다만 TOS 시대 이후 100여년 후 일뿐.)가 그대로 TOS 시절의 과거(22세기)로 떨어지는 일이 발생합니다. 물론 리부트 판 제작진이 시간냉전이니 뭐니 그런건 일절 신경쓰지 않았으므로, 안그래도 본성 터진걸로 있는대로 맛이 가있는 네로 일당은 가만히 지나가고 있던 연방 소속의 USS 캘빈호를 24세기의 막강한 화력으로 아주 가루로 만들어버립니다. 


문제는 이 함선의 1등 항해사로 있던게 바로 제임스 커크의 아버지인 조지 커크(토르로 유명한 크리스 헴스워스가 연기했습니다.)인데, 원래 역사대로 였으면, 조키와 위노나 커크 부부는 함선에서 평온히 아들인 제임스 커크를 낳고, 커크(편의상 이렇게 부르죠,)는 스타플릿(대충 우주함대...라고 보면 되지만, '함대'보단 좀 더 평화적 조직입니다. 나중에 설명하죠.)에서 엘리트 코스를 밟고 함장이 되고, 5년 동안의 항해를 하게 되죠. (TOS의 바로 그거.) 하지만, 네로 일행이 저렇게 깽판을 쳐 댄 덕에 조지 커크는 자신의 아내와 갓 태어난 아들인 커크를 지키기 위해서 자동항법장치마저 고장난 USS 캘빈호를 몰아 네로의 함선인 나라다 호[각주:1]에 쳐 박아 버립니다. 네, 나라다 호에 꽤 큰 피해를 주고 죽은 겁니다. 


덕분에 네로의 난입으로 인해 만들어진 평행 우주(리부트판)에서의 커크는 편모가정에서 상당히 엇나간 인생을 살다가 그를 찾아온 크리스토퍼 파이크 함장 덕분에 스타플릿에 들어가게 됩니다. 



7. 즉 원래 역사에서는 온갖 엘리트 코스 다 밟은 수재, 평행 우주에서는 난데없이 난입한 로뮬란 광부 놈 덕분에 편모가정에서 자라다가 강력한 후원자+강력한 운빨로 함장이 된 놈인거죠.


그렇지만, 두 캐릭터는 리부트 전과 후에 상당히 많이 달라져버린 스팍과 다르게, '모험을 좋아하며, 틀에 박혀있지 않은 사고를 가지고 있으며, 유쾌한 호색한'이라는 면에서는 달라진게 없습니다. 즉, 출신이 완전히 달라져버렸음에도 불구하고, 캐릭터의 본질적인 면은 그대로 인거죠. 지 빡친다고 다 뚜까패는 리부트 스팍[각주:2]과는 상황이 좀 달라요. 물론 윌리엄 샤트너의 커크는 좀 느끼하고 남성적인 면이 강하다면, 크리스 파인의 커크는 얍실하고 유들거리는 느낌이 강합니다. 이건 외모적인 부분에서 오는거니, 결국 캐릭터는 동일한겁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크리스 파인의 커크를 좀 더 선호합니다. 아무래도 개인적으로 TOS는 영화로 먼저 접하다보니 젊고 생생한 모습의 커크 보다는 늙은 모습의 커크를 더 많이 본지라... 


계속

  1. 여기서 뻘소리 하나 하자면, 메모리 알파(스타트렉관련 위키)를 뒤져보니, 나라다 호는 보그의 기술이 적용이 되어있어서 자체 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영화 내에서 약 50여대의 클링온 함선들을 개박살 내버렸다고 하는데, 클링온 함선이 방어 효율이니 그딴거 내팽겨치고 공격력에 중점을 두었다는걸 감안하면, 23세기와 24세기의 기술력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근데 이런 괴물을 전투용이 전혀 아닌 과학선인 USS 캘빈호가 5분 넘게 (영화 상에서는) 버텼습니다. 물론 중간에 협상같지도 않은 협상타임이 있었지만... [본문으로]
  2. 사실 설명이 더 필요합니다. 리부트 스팍 역시 네로 덕분에 캐릭터가 달라질 수 밖에 없었던지라.... 사실 리부트 후나 전이나 캐릭터 자체가 별 차이 없는 건 본즈와 커크 밖에 없다고 봅니다. [본문으로]

'Star Trek > about Star Tre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렉 시리즈에 대하여 -2-  (0) 2016.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