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 벌써 ‘엑스맨 2’가 나온게 2003년이다. 나온지 무려 14년이나 된 셈이다. 사실상 현재의 엑스맨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이어져오고 있는 데에는 ‘엑스맨 2’의 역할이 상당히 큰 것이 사실이다. 


2. 영화는 전작에 비해서 더 많은 캐릭터가 등장하며, 더 복잡해진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고 잘 이끌어나간다. 이후 엑스맨 시리즈가 끊임없이 받아오고 있는 비판 중 하나인 ‘캐릭터 낭비’라는 비판이 무색할 정도로 ‘엑스맨2’는 캐릭터 활용에 대해서 능수능란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그저 활용에 그친 것이 아니라, 울버린, 진 그레이, 그리고 프로페서 X등의 전작에 나왔던 캐릭터들은 더 깊어졌고, 나이트크롤러나 스트라이커를 비롯한 새로운 캐릭터들도 전작의 캐릭터들과 성공적으로 어우러진다. 


3. 또한, 시리즈를 관통하는 ‘차별’에 대한 은유와 풍자는 더욱 날카로워졌다. 전작에서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던 사회가 ‘다른 사람’을 어떤 시선으로 보는지에 대한 묘사도 늘어났으며, 직설적인 묘사 역시 늘어났다. 특히, 사람에 따라 엑스맨 시리즈에서 보여지는 ‘차별’이라는 주제를 지나치게 ‘동성애’쪽으로 포커스를 맞췄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하지만, 초중반부 바비와 그의 부모님 간의 대화씬은 동성애자들의 커밍아웃을 은유함으로서 영화가 묘사하는 ‘차별’이라는 소재를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4. 슈퍼히어로 영화로서의 미덕도 잊지 않는다. 전작과 다르게 액션씬은 더 짜임새 있게 만들어져서, 전작의 흐느적거리던 엑스맨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가 없게되었다. 특히, 초반부의 나이트 크롤러의 백악관 습격씬과 후반부의 레이디 데스스트라이크와 울버린의 대결씬이 인상깊다.


5. 그렇지만, 무엇보다 가장 대단한 점은 2시간 10분이라는 러닝타임이 결코 짧은 시간이 결코 아님에도, 영화 내내 팽팽한 긴장감이 일품이다. 캐릭터 간의 이념의 차이에서 오는 기묘한 긴장감은 물론이고, 후반부 세리브로 가동을 통해 긴박함을 이끌어내는 솜씨가 굉장하다. 여러모로 ‘유주얼 서스펙트’, ‘작전명 발키리’같은 훌륭한 스릴러 영화를 만들어 오던 브라이언 싱어의 존재감이 제대로 발휘되는 부분이다.


6. 물론, 시리즈의 주요 캐릭터인 사이클롭스 같은 캐릭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점이나, ‘차별’에 대한 은유가 원작과는 다르게 ‘동성애’쪽으로 기울어 버린 점, 그리고 지나치게 코믹스와 멀어지려 한 점에서 비판 받는 것도 있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아직도, 그리고 앞으로도 잘 만든 슈퍼히어로 클래식으로 남아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