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단평: 신과 함께-죄와 벌(2017)

감독: 김용화
출연: 하정우, 차태현, 김향기, 주지훈, 김동욱 外.

★★★☆
---------

단 리뷰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한 가지를 미리 말하고 시작하면, 저는 원작 만화를 보지 않았습니다. 원작 웹툰의 이미지가 저에게는 일절 없어서 아마 원작 웹툰을 읽어 본 사람들이라면, 제 생각과 맞지 않을 가능성이 꽤 될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개인적으론 나쁘지 않게 봤습니다. 원작이랑 비교해서 어떤지는 모르지만, 영화 한 편으로 봤을 때는 꽤나 괜찮았다는 생각입니다. 신파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낄지도 모르지만, 일반적인 다른 한국식 신파조 컨텐츠들에 비하자면 상대적으로 더 정제된 느낌이고 과하진 않다는 느낌입니다, 스토리 상으로도 신파적 요소들이 필수적인 영화니까요. 덱스터 스튜디오의 노하우가 집약 된 특수효과는 200억원이라는, 많다고 하면 많지만, 분명히 어지간한 할리우드 영화에 비해 떨어지는 제작비를 감안하면 놀라울 만큼 좋습니다. 여러 유명 배우들에 의해서 훌륭하게 연기된 여러 캐릭터들은 짧게 등장해도 자신의 개성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퇴장을 합니다. 중간중간 반복적인 전개에 루즈해지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래도 크게 거슬리는 부분 없이 깔끔하게 전개도 해 나갑니다.

다만, 김용화 감독 특유의 단점이 발목을 잡는 느낌입니다. 이미 '오!브라더스', '미스터 고', '미녀는 괴로워', 그리고 '국가대표'같은 영화들에서 봐왔으면 알겠지만, 이 감독은 이야기를 풀어내는 재주가 떨어지는 대신에 그 사이 사이를 유머와 신파, 그리고 특수효과로 채워서 얕은 이야기를 감추는 능력이 있습니다. 영화의 주제를 깊게 다루는 능력은 없지만, 관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관객이 원하는 게 뭔지를 파악하는 능력은 확실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김용화라는 감독의 존재는 이 영화에 있어서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습니다. 화려한 특수효과, 그리고 적절한 신파적 구성과 확실한 비전을 가지고 구축해낸 세계관은 이 영화에 있어서 득이 되었지만, 삶과 죽음, 그리고 업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룸에도 죽은지 얼마 안된 사람에게까지 유머를 들이미는 가벼운 연출과 해설 자막이 없으면 명칭과 이미지를 연결시킬 수 없는 화려하기만 하고 텅 빈 특수효과, 그리고 분위기를 계속해서 해치는 유머는 영화에 있어서 큰 실이 되어버렸네요.

물론 2편이 나온 다음에 더 정확한 평이 가능할 영화지만, 아직은 장점이 단점보다는 커보입니다. 1편 자체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이런 영화가 나왔다는 것에 대한 놀라움, 어쨌거나 2편에 대한 기대감은 확실히 준다는 점에서는 저는 좋은 평을 주고 싶습니다. 뭣보다, 2편에는 마동석이 나오니까요.


+ Recent posts